콘덴서(Condenser)
* 콘덴서의 종류
1) 고정콘덴서(Fixed Condenser)
* 무극성 콘덴서
ㄱ. 세라믹(ceramic) 콘덴서
비유전율이 큰 산화티탄의 자기를 유전체로 사용한 콘덴서로 소형에 비해 용량이 크며 1pF에서 1.5μF정도 범위의 것이 만들어지고 있다. 온도변화에 의해서 유전율이 변하고 용량변화를 일으키는 단점이 있다.
☞ 측정법 : 무극성 소자이므로 test의 지침상태가 양방향 단자에 놓아서 측정하여도 무방하며, 지침상태가 순간적으로 움직인 상태가 정상적이다.
ㆍ 용량 : 표면에 숫자로 표시 (예: 104)
ㆍ 오차 : 표면에 영문자로 표시 (예: J)
ㆍ 용량 계산법 : 1자리수(유효 숫자), 2자리수(유효 숫자), 3자리수(승수)
예) 1 0 4 J 10 × 10의4승 = 100000㎊ ± 5% = 0.1㎌ ± 5%
ㄴ. 마일러(Myler)콘덴서
유전체에 기계적으로 강하며 내열,내한에 우수한 텔레프탈산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유전체로 사용하며 매우 견고하나 보통 스티롤 콘덴스에 비해 고주파 특성에서 떨어진다.
☞ 측정법 : 세라믹 콘덴서와 마찬가지로 무극성 소자이므로 test의 지침상태가 양방향 단자에 놓아서 측정하여도 무방하며, 지침상태가 순간적으로 움직인 상태가 정상적이다.
ㆍ 내압 : 표면에 숫자와 영문자 표시 (예: 1H)
ㆍ 용량 : 표면에 숫자로 표시 (예: 222)
ㆍ 오차 : 표면에 영문자로 표시 (예: K)
ㆍ 용량 계산법 : 1자리수(유효 숫자), 2자리수(유효 숫자), 3자리수(승수)
예) 1H 222K 22 × 10의2승 = 2200㎊±10% = 내압 50V, 용량 0.0022㎌±10%
ㄷ. 종이 콘덴서 (Paper Condenser)
종이와 전극을 둥근 통모양으로 감고, 절연물 통속에넣어 파라핀으로 방습처리한 콘덴서.주로 저주파 결합용이나 필터용으로 사용한다.
§ 콘덴서의 내압(정격전압)
ㆍ 문자와 숫자의 조합으로 표시된다.
ㆍ 표시가 없을시 전압은 50[V]를 나타낸다.
|
A |
B |
C |
D |
E |
F |
G |
H |
J |
K |
0 |
1 |
1.25 |
1.6 |
2.0 |
2.5 |
3.15 |
4.0 |
5.0 |
6.3 |
8.0 |
1 |
10 |
12.5 |
16 |
20 |
25 |
31.5 |
40 |
50 |
63 |
80 |
2 |
100 |
125 |
160 |
200 |
250 |
315 |
400 |
500 |
630 |
800 |
3 |
1000 |
1250 |
1600 |
2000 |
2500 |
3150 |
4000 |
5000 |
6300 |
8000 |
§ 콘덴서의 허용오차
ㆍ 한 개의 문자로 표시
ㆍ 10[pF]이상은 [%]로 표시하고, 10[pF]이하는[pF]으로 표시한다.
문 자 |
B |
C |
D |
F |
G |
J |
K |
M |
N |
V |
X |
Z |
P |
허용오차
(%) |
±
0.1 |
±
0.25 |
±
0.5 |
±
1 |
±
2 |
±
5 |
±
10 |
±
20 |
±
30 |
+20
-10 |
+40
-10 |
+80
-20 |
+100
-0 |
허용오차
(㎊) |
±
0.1 |
±
0.25 |
±
0.5 |
±
1 |
±
2 |
- |
- |
- |
- |
- |
- |
- |
- |
* 유극성 콘덴서
ㄱ. 전해(Electrolytic)콘덴서
얇은 산화막을 유전체로 사용하며 전극으로는 알루미늄을 사용한다.
ㆍ소형으로 대용량을 얻을수 있다.
ㆍ고주파 회로에 적합하지 않다.
ㆍ저주파 및 전원용으로 많이 사용.
ㆍ극성에 주의해야 한다.
☞ 측정법 : 콘덴서는 충전과 방전 작용을 요하는 소자이므로 도통 시험을 할때는 콘덴서의 충전전류로 인한 test의 지시치가 최대값에서 서서히(방전할때까지) test의 지침이 내려오게 되었을 경우 정상적이다.
☞ 극성 구분방법 : 리드선의 길이가 긴 것이 (+) 또는 몸체에 (-)극이 띠 형태로 되어 있다.
ㆍ 용량 : 표면에 숫자로 표시 (예: 10㎌)
ㆍ 내압 : 표면에 숫자로 표시 (예; 16V)
ㄴ. 탄탈(Tantalum) 콘덴서
전해 콘덴서의 일종으로 탄탈 산화물을 유전체로 사용.
ㆍ전해콘덴서에 비해 주파수 특성이 좋다.
ㆍ온도특성 및 누설전류 특성이 좋다.
ㆍ소형이며 주로 커플링회로, 필터회로, 노이즈 리미터 등에 많이 사용한다.
☞ 극성 구분방법 : 리드선의 길이가 긴 것이 (+) 또는 몸체에 (+)극이 띠 형태로 되어 있다.
ㆍ 용량 : 표면에 숫자로 표시 (예: 22㎌)
ㆍ 내압 : 표면에 숫자로 표시 (예: 25)
2) 가변 콘덴서(Variable Condenser)
트리머(Trimmer)콘덴서라 부르며 가변저항처럼 용량을 변화시킬수 있다.회로동작시 수시로 용량을 변경할 필요가 있을시 사용.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1110F8414FA1CD9608)
3) 반고정 콘덴서
고주파 회로나 국부발진 회로의 주파수 보정에사용. 한번 용량을 가변설정후 조립해서 비교적 고정된값으로 이용시 활용된다.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204F6B464FA1CE7D0D)